-
용서는 가장 크 수행입니다.
남을 용서함으로써
나 자신이 용서받습니다.
날마다 새로운 날입니다.
묵은 수렁에 갇혀
새 날을 등지면 안됩니다.
맺힌 것을 풀고
자유로워지면
세상문도 활짝 열립니다.
강원도 깊은 산골에 오두막을 짓고 살며 일 년에 두 번 대중 법회를 갖는 법정스님이 지난 4월에
이어 17일도 거듭 ‘용서’를 화두로 들었다. 스님은 이날 아침, 단풍과 코스모스가 어우러진
서울 성북동 길상사(주지 덕조 스님)에서 열린 가을법회 법문을 통해 “용서로 마음에 박힌
독(毒)을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4월은 대통령탄핵과 총선으로 사회적 갈등이 첨예했던
때다. 계절이 가을로 접어들도록 여전히 용서와 화합의 결실을 이루지 못하는 속세를 향해 다시
한번 죽비를 든 셈일까, 법정 스님은 봄·가을 단 두 번뿐인 대중법문의 올해 주제를 모두 ‘용서’
에 할애했다.
스님은 ‘그대가 시인이라면 종이 위에 떠다니는 구름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틱낫한 스님의 책
내용을 인용하는 것으로 법문을 시작, “구름이 비를 뿌리고, 그 비로 나무가 자라고, 나무로 종이를
만들 듯이 모든 존재는 관계 속에 있으며 독립된 존재는 어디에도 없다”고 강조했다.
스님은 “지난 4월에도 용서를 이야기했는데, 여러분은 그동안 얼마나 용서를 실천했는가” 묻고는
최근 발간된 달라이 라마의 대담집 '용서'의 한 일화를 예로 들었다.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탈출할
때 티베트에 남는 바람에 중국 감옥에서 18년 동안 감금당해 자기비판을 강요당하며 고초를 겪은
한 스님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 긴 고난의 세월 동안 전혀 변치 않은 티베트 스님을 20년 만에 만난 달라이 라마가
“두려웠던 적이 없었냐?”고 묻자 그 스님은 “나 자신이 중국인을 미워할까봐, 자비심을 잃게 될까봐
가장 두려웠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법정 스님은 “내가 그 처지였으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아마 그렇지 못했을 것 같아 부끄러웠다”며 “땅을 딛고 사는 우리는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땅에서
자비와 용서의 정신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님은 “인간은 때 되면 누구나 자신의 일몰(日沒) 앞에 서게 되는데 그 전에 맺힌 것을 풀어서
자유로워져야 된다”며 “이 좋은 가을날 열린 세상에서 열고 살아가길 바란다”고 법문을 끝맺었다.
오늘 어느 일간지에 실린 법정스님의 법회에 관한 내용이다.
용서는 언제나 내 가슴의 화두이기도하다.
실은 공자님도 용서에 관한 많은 이야기를 했었다.
일상에서 스트레스는 어쩌면 남을 용서하지 못해 스스로 좌절과 갈등의 표현이지 않을까....
전에는 용서란 성스런 윗사람이 하는 것으로 알고 느낌이 그리 크지 못했지만
이젠 용서를 이해할 듯 하다....
나의 용서는 남을 위한 배려와 자비를 베풀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단 것을 알지만
나는 용서를 통해 내 자신의 자유를 꿈꾼다.
오늘 노오란 은행잎 빛깔이 화려한 빛을 내뿜고 있었다.
가을이 다 가기전에 용서를 통해 우리는 그리움의 추억을 얻는다.
사랑의 기쁨을 얻는다...그리고
우주를 향한 진정한 자유를 얻는다.....저 멀리 훨~~~~날아갈듯한 그 무엇의 자유를....
2004.10.19 s.k
'♡지란지교를 꿈꾸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속 예쁜장면 & 아름다운 대사 (0) | 2004.10.20 |
---|---|
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0) | 2004.10.20 |
인디언 기도문 (0) | 2004.10.19 |
행복이란 (0) | 2004.10.19 |
안으로 깊어지는 것 들 (0) | 2004.10.19 |